[스크랩] 옛그림을 통해서 본 난의 재배 역사 옛그림을 통해서 본 난의 재배 역사 우리나라는 오랜 옛날부터 난을 재배해온 흔적이 엿보이지만 실제로 언제부터 재배되었는가에 대한 정확한 연대를 파악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옛 문헌과 그림 그리고 각종 기록들을 종합해보면 우리나라의 난 재배 역사를 정립할 수가 있다. 현재 우리.. 난과 함께/난 기초 2011.08.15
[스크랩] 이하응 묵란도 이하응 묵란도 비단에 수묵 123cm x 32.3cm 국립중앙박물관 1892(고종 29) 괴석과 난초가 어울린 석란(石蘭)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이 난초는 두 폭이 짝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를 대련(對聯)이라고 한다. 마치 벼랑에 핀 듯 바위 틈새에 피어난 난이다. 진한 먹의 난잎은 매우 유려하게 솟아 있고.. 난과 함께/난 기초 2011.08.15
초심자를 위한 채란요령과 유의사항 (펌) 초심자를 위한 채란요령과 유의사항 처음 산행을 하시는 회원들을 위해 간략하나마 세계적으로 희귀하고 뛰어난 우리나라의 춘란을 채란하는데 있어 꼭 지켜야할 사항과 채란요령을 살펴보고자 한다. 1) 춘란 자생지 분포 우리나라의 춘란은 주로 전라남북도와 경상남도 지방을 기준해서 U자 모양으.. 난과 함께/난 기초 2011.07.25
분갈이와 증식법 (펌) 분주와 분갈이 분주란 난을 기르다 보면 많은 촉수로 불어나서 촉수를 나누어주는 작업을 말한다. 분갈이란 많은 촉수(大株라고 한다)로 늘지 않았더라도 3년 이상 같은 분에서 지내게 되면 과다한 산성과 여러 유해 성분이 유출돼 난에게 적잖은 피해를 주는데 이때 분을 갈아주는 작업을 말한다. 난.. 난과 함께/난 기초 2011.07.24
화아 분화 (펌) 화아분화 자연 환경에서의 춘란은 봄, 여름, 가을과 겨울을 거치면서 자연 환경에 적응하여 가장 적절한 시기에 꽃을 맺고 가장 적절한 시기에 꽃을 피운다. 그러나 난실에서의 환경은 인위적 보완을 해주어야 꽃을 맺고 피우는 시기를 알맞게 조절할 수가 있다 <주금화> 화아분화는 꽃눈을 형성.. 난과 함께/난 기초 2011.07.24
거름주기 (펌) 시비(거름주기) 1.일반사항 난은 맹물만 먹고도 잘 크는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물론 비료를 안 준다고 하여 죽거나 생장을 멈추는 것이 아니다. 난에 영양분이 부족하면 잎이 제대로 성장이 잘 안되며 잎의 장수가 적어지고 꽃눈 형성이 잘 되지 않고 뿌리가 가늘어지고 튼튼하게 자라.. 난과 함께/난 기초 2011.07.24
난의 품종 사전 (펌) ㅁ건국전(建國殿) 부귀란 호. 팔천대에서 중반으로 발전한 품종이다. 중반 모양에 황갈색의 호가 2~3개 나오는 것이 많다. 중반이 화려해 지면 비가 된다.무늬는 보통 마지막가지 나오지 않으며 가을에야 무늬가 선명해 진다.잎은 두터운 입엽으로 중엽이 많고 호도 나온다. 붙음매는 반달모양이고니축.. 난과 함께/난 기초 2011.07.24
약제 사용법 (펌) 안전한 약제 사용법 일단 병충해를 입은 난은 원상복귀가 불가능하므로 예방이 최선책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반드시 소독 작업이 필요한데 약해 없는 안전한 약제 사용법에 대하여 정리한 내용 입니다. [병충해 방제] 병에 걸린 난의 병을 고치거나 해충의 피해을 입은 난을 원상복귀하는 것은 불가능.. 난과 함께/난 기초 2011.07.24
물주기 (펌) 물주기 언뜻 보기에는 평범한 듯 하지만 의외로 중요한 것이 물주기 작업이다. 수질이나 수온 혹은 재배 환경, 분, 배양토 그리고 기후등의 문제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배양토의 상부가 완전하게 건조하면 물을 준다. 춘란의 뿌리는 다습을 싫어 하기 때문에 극단적으로 말해 지나치게 건조할 정도로.. 난과 함께/난 기초 2011.07.24
계절 및 월별 관리 (펌) 기본 주의사항 1. 빛관리 오전중 2시간 정도의 직사광선이 최상의 환경이며 빛이 너무 강하면 잎이 누렇게변합니다. 오전중에 빛이 들어오는 동,남쪽의 창가나 베란다(겨울은 피하고한여름은 해가린을 해 주거나 빛이 적게 들어오는 거실쪽으로 이동) 에 두시면 좋습니다.란은 기본적으로 음지(반음지.. 난과 함께/난 기초 2011.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