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과 함께/난 기초

난의 품종 사전 (펌)

bhrho 2011. 7. 24. 13:13

ㅁ건국전(建國殿)
부귀란 호. 팔천대에서 중반으로 발전한 품종이다.
중반 모양에 황갈색의 호가 2~3개 나오는 것이 많다.
중반이 화려해 지면 비가 된다.무늬는 보통 마지막가지 나오지 않으며
가을에야 무늬가 선명해 진다.잎은 두터운 입엽으로 중엽이 많고 호도 나온다.
붙음매는 반달모양이고니축에 무늬가 들어있는 촉에서 나온 뿌리는 적근이다.
1939년 등록됐다.(더 자세한 정보는 풍란 학당에 있읍니다.)

검용(劍龍)
부귀란 복륜 백청룡에서 복륜으로 발전된 품종이다.
크기는 중형으로 입엽이다. 잎은 폭이 좁으며 끝이 뾰족하다.
선청성으로 나오는 무늬는 설백에 가까우며 흰무늬 부분은 얇아서 잘탄다.
붙음매는 반달 모양이고 니축이다.
겨울에는 잎가장자리에 선명한 분홍색이 착색되는 경우가 있다.
성질이 약하고 대주만들기가 어렵다. 어검,보검과 더불어 삼검종이라 한다.
등록품종이다.

경하(慶賀)
부귀란 산반호 어성금에서 산반으로 발전된 것이다.
잎은 길이가 7cm 전후로 중입엽ㅇ인데 폭은 넓고 두터우며 힘이 있다.
백색바탕에 푸른색의 산반이 들어가는 것이 본예이나
초록색 바탕에 백색반호가 드는 것이 많다. 축은 엷은 분홍색이나
뿌리 끝은 거의 청근이다. 붙은매는 반달형이다.
팔중의와 비슷하나 입엽이라는 점과
뿌리끝을 주의해서 보면 쉽게 구별할수 있다. 등록품종이다.

경하 복륜
부귀란 복륜호 경하에서 복륜호로 발전했으나 대주는 아직 없다.
반입엽의 선천성 산반이다.

고외 (高외)
부귀란 호피반 잎은 윤기가 있는 초록색으로 폭이 넓으며 길이가 9cm 전후로
두터운데 약간 입엽으로 휘어지지 않는다.
신아때부터 선명한 백색의 호피반이 들어 나오지만
절반이 되기 어려우며 소멸성이다.
성질이 강건하고 번식이 잘되며 햇빛을 약하게 주면 아름다워진다.
붙음매는 반달형이고, 축은 자홍색이며 뿌리는 다갈색이다.
또 호박과의 차이점은 본종은 축이 자색이다.
설산과의 차이점은 설산이 잎의 폭이 넓고 절반이다.
초록색이 짙다. 등록 품종이다.

고천수(高千穗) 복륜
부귀란 복륜 일본 구주산으로 넓은 잎의 호가 복륜으로 된 품종이다.

고천수지호
부귀란 호 크기가 대형으로 희엽의 앞 절반부분이 휘어지는데
잎폭은 중앙부가 약간 넓고 끝은 예리하다.
엽육이 얇으며 대강환호의 잎이 길어진 느낌이다.
호의 색은 백색과 황색의 두가지가 있다. 붙음매는 반달형,니축에 니근이다.
미등록품종이다.

공작환(孔雀丸)
부귀란 무지 변이엽.
처음부터 무늬를 잘내는 것과 좀처럼 무늬가 나오지 않는 개체가 있다.
초록색의 넓고 얇은 환엽으로 잘벌어지지 않고 겹쳐지며 한쪽으로 굽어진다.
본예는 라사지에 산반호가 들었으며 잎 뒤에 먹줄을 친 듯한 검은 선이 있다.
짤막한 모양이 강직함을 더해 준다.
붙음매는 작은 물결모양의 한일자로 청축에 청근이다.
꽃은 천소피기로 거가 굵다. 등록 품종이다.

관백(冠白)
부귀란 복륜 잎은 소형이다.
신아는 백황색으로 나오며 초록색 산반이 들어가지만
뒤에 백색의 대복륜으로 바뀐다. 금모란의 백색호에서 변화한 것이다.
붙음매는 반달형이고 축은 자홍색, 뿌리는 적근이다. 미등록품종이다.

관설(貫雪)
부귀란 호 9cm 전후의 잎은 끝이 둥글고 직선적인 것이 특징으로
바탕색인 초록색이 진하고 선척적인 선명한 백호가 든다.
전체적으로 작은 점이 나오기 쉽다. 붙음매는 반달,축은 니축이지만
화려하게 나온것은 적근이다. 꽃은 개화할때까지 붉다.
.......같은 이름으로 장생란도 있다)

관운봉(冠雲峰)
호이다. 잎은 두터우며 폭이 넓다.
잎끝이 약간 좁으며 노수엽니 된다.황색산반으로 나와서 호로 남는다.
붙음매는 반달,니축에 니근이다. 미등록품종이다.

광명전(光明殿)
부귀란 호이다.팔중의에서 호로 발전한 품종으로
중형이고, 폭이 약간 좁으며 허리부분과 잎끝이 휘어진다.
노촉은 무늬 전체가 소멸되는 경우가 많다.월형,니축,니근이다.

국광전(國光殿)
황하 대팔주의 모종으로 초록색의 심조복륜호 이외에는 똑같다.
바탕색과 초록색 조와의 구별이 잘안된다.
잎의 길이가 10cm 전후인 두터운 노수엽이다.월형,니축

국보전(國寶殿)
후발의 담황색 호이다.성질이 좋고 여유가 있는 희엽이지만 약간 가는 느낌이 있다. 무늬가 불안정하며 복륜으로 변하기 쉽다.

국휘전(國輝殿)
금광금이 복륜으로 변화한 품종이다.
무늬가 잘나온 금광금이 본종으로 잘 변한다.

군무(群舞)
나도 풍란 다경종. 1987년에 발견된 품종으로 모든 것은 일반종과 같으나
정아가 자라면 측아가 나와 번식되는 다경종이다.조직배양에서 나온 품종이다.

귀면각(鬼面角)
산채당시 잎에 울두엽이 섞여 있었다.잎에는 호피반 모양의 무늬가 있고
마디 부분에 가는 초록색호가 무수히 들어있는 특수한 예이다.미등록 품종이다.

귀모전(貴母殿)
잎의 길이가 7cm전후이다. 폭은 약간 좁고 느슨하다.
선청성 백색호이고 축과 뿌리까지 무늬가 드는 경우가 있다.

귀보청(貴寶靑)
무지변이엽
잎은 가늘고 얇으며 길이가 7cm전후로 끝이 뾰족한 관엽에 가깝다.
적엽(摘葉)이 나오는 등 특이한 예를 가지고 있다. 꽃은 크림색으로 핀다.

귀운각(貴雲閣)
중형중에서 좀 큰편이다. 노촉이 되면 사피모양의 호피반을 낸다.
무늬를 내는 것은 개체에 따라 다르겠으나 강한 빛이 필요하다.
월형,니축,니근으로 미등록품종이다.

귀청옥(貴靑玉)
무지변이엽.잎길이가 4cm전후인 소형종이다.
윤기가 잇으나 초록색이 약하며, 잎끝은 둥글고 단정한 모습니다.
청축이지만 빛을 강하게 주면 축의 아래부분이 약간 물든다.
청근은 굵으며,월형이다.약한빛으로 재배하는 것이 좋다.

극광(極光)
호피반이다.중형이고 잎 겹침이 느슨한 희엽이다.
마지막에 나오는 입은 백색으로 나와서 차츰 소멸되지만 호피반을 남긴다.
월형,니축,적근이다.

금각(金閣)
중형이며 새잎은 엷은 초록색으로 나와서 뒤에 엷은 호피반이 나타나
중앙에 초록색 중반이 남는다.
오래된 잎은 경계가 뚜렷하지 않은 엷은 크림색의 복륜이 된다.
월형,니축,니근이다.( 같은 이름으로 일본한란(2종류),장생란이 있다.

금갑(金甲) 복륜
희엽으로 잎의 폭이 넓고 두터우며 윤기가 있는 극황색 복륜이다.
생육기인 가을까지는 약간 푸르스름 하지만 겨울에는 윤기있는
황금색으로 물든다.월형,니축,니근이다.
성질은 약한편이며 번식도 잘 안된다.
유령으로 나오거나 복륜이 되지 않은 촉은 빨리 자르는 것이 좋다.

금강금(金剛錦)
부귀란 호피반이다.잎은 중엽에 두터우며 직선형 칼같이 생긴 입엽으로
끝이 둥글다.선천성 연초록색 호이며 무늬는 고르게 나온다.
월형,니축,니근 미등록 품종이다.

금공작(金孔雀)
이세왜계에서 변화한 것으로 잎은 둥글며 평평한 단엽이다.
강한 햇빛을 주면 새잎 한두장을 남기고는 잎표면 전체가 담황색이 된다.
잎뒷면은 가장자리에 약간의 무늬가 나오지만 전체적으로는 초록색이다.
잎이 타면 회복되지않는다.
월형이고 니축이지만 붉은 기가 있는 니근으로 등록 품종이다.

금광금(金廣錦)
금광중반에서 선명한 황색호로 발전한 품종이다.
잎의 길이가 9cm 전후인 희엽으로 잎의 폭이 넓고 두터우며
잎 끝이 둥글고 위풍이 당당하며 웅장한 감이 있다.
잎 끝에서 2cm 되는 곳에서 다소 꺽이는데
이것을 역엽이라고 하며 본종의 특징이다. 니축에 니근이다.

금광성(金光星)
소형의 입엽으로 골이 깊다.밤하늘의 별처럼 투명한 점이 들어 있다.
뿌리는 짧으며 마디가 있는 것처럼 잘룩하다.월형,니축에 갈색뿌리이다.

금광중반(金光中斑)
금광금의 모종이다.

금두(金兜)
신대에서 호로 발전한 품종으로 잎의 길이가 7cm 전후로 폭이 넓고 두터우며
약간 희엽으로 휘어지지 않는다.
윤기가 흐르는 황색의 호가 들어있으며
풍란중에서 제일이라고 할 정도로 선명하게 든다.월형에 니축,니근이다.
조일전과 비슷하나 본종의 호가 더 선명하다.
이 품종에서 복륜으로 나오면 금갑복륜,
중반에 초록색 복륜으로 된 것을 신대라고 한다.

금루각(金鏤閣)
이 품종은 세엽과 광엽이 있다.잎의 길이가 6cm 전후로 희엽이다.
두터운 황색의 대호피반이 앞뒤로 관통하면서 전면에 들어가지만 깊지는 않다.
잎 뒤에서 보면 푸른색보다 황색 복륜으로 보이는 것이 우아하다.
월형,니축에 적근이다.

금모란(金牡丹)
부귀란 서반 새잎은 크림색의 유령으로 나오는데
초록색 선이 섞이는 경우도 있다.
잎끝에서 천천히 초록색으로 물들며 두 장째 정도에서 윤기가 있는
푸른잎이 된다. 작은 반점이 많이 나온다.
월형,진한 니축에 뿌리는 루비색으로 무척 아름답다. 꽃도 붉은색을 띠고 있다.

금모란 백호
금모란에서 백색의 호로 발전한 품종이다. 그외는 금모란과 같다.

금모란 황호
금모란 소형으로 엽육이 두터우며 잘휘어지지 않는다.
신아는 황금색으로 나오며 약간 초록색선이 들어간다.
나중에 황색호가 뚜렷해진다.

금사묵(金紗墨)
소형종으로 잎이 두터우며 선이있다.
새잎은 연초록색으로 나와서 초록색선이 약간 섞이며 차츰 초록색이 늘어나
노란색의 구름이 뜬 것처럼 보아ㅣ다가 차츰 뚜렷한 황색호로 고정된다.
마지막 입을제외하고 모든입에 작은 점이 나온다.
월형,니축에 뿌리는 루비색이다.

금사전(金紗殿)
부귀란 사피(?) 대형종이며 좌우로 뻗은 잎은 과엽으로 휘어진다.
월형에 니축니근이다.

금성(金城)복륜
금성금(金城錦)이 복륜으로 변한 품종이다.희엽으로 약간 짧다.
천엽이 나올때는 푸르지만 차츰 잎 끝에서 복륜이 드는 극황색의 심복륜이다,

금유황(金幽晃)
금루각의 청축이라 하지만 이보다 잎 폭이 넓고 크다.
후발색으로 빛을 많이 받으면 전면에 황색 호피반이 나온다.월형에 청축이다.

금은 라사(金銀羅紗)
약간 소형종이다.잎 끝이 둥글며 윤기가 없는 잎은 샌드페이퍼처럼
거칠며 직사광선을 받으면 그늘진곳과 반사되는 곳이있어
이것을 금은으로 번쩍이는 라사지 라는 뜻에서 붙은 이름이다.
월형,니축에 니근

금호금(金호錦)
중형이며 엽육이 두터운 입엽에 희엽이다.
잎 끝은 뾰족하며 강한 노수엽이 섞인다.백황색 바탕에 산반호가 들어간다.
월형에 니근,니축

금화산(金華山)
약간 소형이며 입엽이다. 새잎은 황색으로 나오는데 감호가 있다.
황색의 잎은 끝에서 초록색으로 물들기 시작하지만
속도가 느려서 2~3번째 잎까지 아름다움을 느낄수 있다.
그리고 오래된 잎도 잘보면 감호가 남아있다. 월형,니축,적근이다.

금황비(金晃비)
중형이며 마지막잎은 파랗게 나오지만
가을부터 겨울에 걸쳐 초록색 또는 연초록색 바탕에 복륜을 남긴다.
오래된잎은 전체적으로 담황색이 된다. 월형에 청축,청근이다.

기린환(麒麟丸)
단엽의 표준형으로 잎 길이가 3cm 전후이다.
엽육이 두터운 이 품종은 옥금강과 입대붕의 중간 크기를
모두 이 속에 포함했기 때문에 숫자가 늘어나 가격이 떨어졌다.
붙음매는 파도형이며 엷은 니축에 니근이다.

기린환호
기린환의 마지막 잎에 엷은 호가 들어나와 진한 황색으로 발색된다.

기주갑용(紀州甲龍)
잎은 가늘고 길며 휘어진다.
한 포기에 한장 있을까 말까 할 정도의 甲龍이 든다.월형에 니축,니근
꽃은 힘이 없는 기화로 벌어지지 않는 것도 있다.

기주금(紀州錦)
대형종으로 잎이 길고 폭이 넓은 입엽이다.잎끝은 예리하며 노수엽이 섞인다.
진한 초록색바탕에 백황색 호와 감호가 섞이는 색 대비가 양호한 호품종이다.
월형에 청축 청근

기주록풍(紀州綠風)
화예품이다. 약간 대형종이다. 잎폭은 넓고 휘어진다.
초록색 꽃이 피지만 비취에 비하면 초록색이 엷으며 여성적이다.

기주 복호(紀州伏虎)
호피반이다.대형이며 수엽성 희엽에 노수엽이 섞인다.
파랗게 나와서 황색의 호피반을 내며 잎의 앞,뒤가 울퉁불퉁하다.
후천성으로 월형에 니축이다.
무늬는 잎 뒷쪽까지 빠지지만 빠지지 않는 부분도 있으며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신품종이다.

기주설호(紀州雪虎)
잎은 약간 가늘며 길이가 8cm전후의 표준형이다.
잎 뒤에 시괄호가 선청성으로 나오며 소멸되지 않는다.
무늬는 설산과 유사하나 호피반이 잘 나오는 것이 많다.
붙음매는 물결형이고 니축에 청근이다.

나사복륜(羅紗覆輪)
잎은 6cm 정도의 중형으로 윤기가 없으며
잎이 라사형이라지만 현존하는 것은 그다지 라사가 들지 않는다.
복륜은 후천성으로 가늘며 경계가 뚜렷하지 않은 흐린 황색이다.
월형에 니축,짙은 니근이다.성질은 강하다

나사홍룡(羅紗紅龍)
부귀란 화예품 중형의 입엽이며, 잎끝이 약간 둥글다.
잎은 윤기가 없으나 나사지라고는 말하기 어렵다. 월형에 니축,니근이다.
꽃은 약간 큰 홍화로 두텁다. 미등록 품종

나인지광(羅因之光)
잎은 6cm정도의 입엽으로 윤기가 있으며 약간 휘는 두터운 중형이다.
초록색이 진하며 여기에 예리한 담황색의 호가 들어가는 것이
이 품종의 특징이다. 오래된 잎은 황색의 진한 호가 된다.
이 품종은 희엽성과 새잎이 입엽으로 나와서 후에 희엽이 되는 두 계통이 있는데 1950년경에 송도금(松島錦)과 강호금(江戶錦)을 나인지광으로 일원화 했다.
월형에 니근,니축이다.

남국지무(南國之舞)
화예품이다. 간지런한 평엽이다.
꽃은 춘급전과 비슷하나 거(距)가 없으며 엷은 분홍색이다.

남해설호(南海雪虎)
호피반이다. 세엽의 중형종이며 바탕색의 초록색이 강하고 무늬가 잘든다.
잎 겹침이 완만하며 잎이 빨리 떨어지는등 재배가 어렵다. 월형에 니축이다.

낭화사자(浪花獅子)
잎이 두껍고 가늘며 긴 기엽이다.
본종은 제멋데로 뒤틀려져 사자가 춤을 추는 듯하데서 붙은 이름이다.


낭화사자(浪花獅子) 백중반
낭화사자에서 중반으로 발전한 품종으로 황색도 있다.
월형에 니근,니축이다.
새잎에 중반이 들어가며 백색으로 변하는 것을 백옹사자
백색 중반이 잎뒤로 빠지는 아름다운 품종을 옹사자라고 하는데
모두 미등록품종이다.

녹보(錄寶)
담록색의 넓은 단엽으로 잎끝은 둥글다.
붙음매는 일문자이며 정연하게 생긴 축은 굵다.청축에 청근이다.

녹선(綠扇)
잎은 끝이 뾰족한 두엽이다. 꽃은 테두리가 엷은 분홍색으로 물들어 아름답다.
붙음매는 일문자 내지 얕은 산모양이다.

녹선황(錄仙晃)
마지막 잎은 초록색 호로 나와서 오래되면 둔탁한 엷은 황색호가 나타난다.
대형이며 잎은 폭이 넓고 끝이 뾰족하며 노수엽이다. 월형에 니근니축이다.

녹수(錄壽)
중형에서도 큰부류에 속한다.잎폭이 넓고, 노수엽이 섞이는 중입엽이다.
초록색은 약하며 잎겹침이 좋다. 월형에 청축,청근이다.

뇌호지검(뇌戶之劍)
엽육이 두터우며 물받이 홈통모양의 직도엽을 수평으로 벌리고
노수엽이 섞여있다.
붙음매는 색다른 물결모양이며 축은 넓고 진한 니축에 니근이다.

능금(綾錦)
부귀란 서호반 잎은 폭이 넓고 길며 활 모양으로 웅대한 감을 주는데
희엽으로 대형이다.
초록색이 진한 바탕에 그물무늬 같은 산반이 섞인 황색의 호이다.
월형에 청축이다.

능삼채(綾三彩)
복륜이다. 청축,청근인 부악에서 변화한 것이며
잎끝은 약간 둥근 희엽이며 산반이 발전하여 복륜으로 발전한 것이다.
월형에 청축,청근이다.

단정학(丹頂鶴)
색화(적화)품종이다.
중형의 폭이 넓은 만곡엽으로 아래로 굽은 잎,잎끝은 뾰족하며
왼쪽으로 올라온다.
꽃은 꽃잎끝에 분홍색이 감돌지만 때로는 백화로 피는 경우도 있다.
월형에 니축 니근이다.

담해(淡海)
소형의 단엽종중에서는 좀 큰품종이다.
잎은 넓으나 잎가장자리는 약간 얇으며 안쪽으로 휘어지는 것과
바같쪽으로 휘어지는 잎이 섞이는데 끝은 둥글다.
붙음매는 물결형,니축니그니다(미등록품종)

당금(唐錦)
소형으로 잎은 폭이 약간 넓지만 얇다.잎 겹침이 좋으며 단정한 모습이다.
백황색의 호피반은 잎뒤까지 들며 절반도 양호하다.
월형에 니축,적근이다.

대강환(大江丸)
제(帝)나 대강환호의 모종이며또 여기서 무늬가 빠진 것을 대강환이라 부른다.
잎폭이 넓은 반면 길이가 짧으며 잎끝은 뾰족하다.
이런한 것을 일인들은 목엽형(木葉型)이라고 부른다. 니축,니근이다.

대강환호 (大江丸縞)
잎의 중앙부가 넓으며 목엽형이다.
호는 연초록색으로 나와서 황색에서 극황색으로 밝아진다.
작은 점이 나오기 쉬우므로 햇빛을 약하게 하여 재배하는 것이
아름답게 재배하는 것이다.
초세에 비해 뿌리가 가늘고 붙음매는 월형에 일문자가 섞인다.니축에 니근이다.

대납언(大納言)
부악계통 중에서 특히 대형인 것을 대납언이라 하여 애배하고 있다.
백황색의 산반호로 화려하게 무늬가 들수록 좋다.월형,니축,니근이다.

대동환(大洞丸)
대강환호가 담황색의 대복륜으로 변화환 것이다.
잎끝은 넓고 중앙부가 뻣뻣한 목엽형으로 극황색이다.
붙음매는 일문자에 가까우며 니축이다.평균적으로 뿌리가 가늘며 끝이 붉다.

대부귀(大富貴)
잎 폭이 넓고 끝도 그다지 뾰족하지 않은 대형으로 완만하게 굽어진다.
천엽은 엷은 황색바탕에 초록색호로 물들며 뒤에 연초록색 바탕에
초록색호로 변한다. 월형,청축,청근이다.

대운해(大雲海)
중형이나 크게 보인다. 잎은 폭이 넓고 완만하게 굽어지며 끝도 둥글다.
새잎은 큰 백색 호피반을 나타내지만 소멸된다.월형에 니축 니근이다.

대응환(大應丸)
단엽 계통이다.잎은 3cm 전후의 입엽으로 다육식물처럼 두툼하며
잎 가운데 골이 반대로 올라와 있다.새잎은 표준형이다.
월형에 니축,니근이다. 대고환(大高丸)이라고도 부른다.
재배가 쉽고 대주가 되면 아름다움은 한층 더하다.

대파 청해(大波靑海)
잎은 두텁고 길이가 8cm전후의 대형종으로 폭이 넓으며
비틀어지면서 늘어지지만 잎 겹침이 좋아 물결 모양이 된다.
햇빛을 강하게 주어 큰 포기로 만들수록 보기가 좋다.
꽃은 흰색으로 하늘피기이다.
하나의 꽃대에 열개 정도의 대륜화를 피운다.
붙음매는 물결모양이며 니축에 청근이다.

대파청해지복륜(.....之覆輪)
대파청해에서 돌연변이로 나온 것이다.월형에 니축 니근이다.
예전에는 호가 나왔으나 절종되었다.

대팔주(大八州)
국광전에서 발전한 심조복륜으로 대형의 노수엽이다.
잎끝에서 황갈색의 심조복륜에 축입호가 섞이지만 상품은 복륜에 가깝다.
오래된 잎에서는 작은 점이 나오기 쉽다.
꽃은 엷은 황색이며 니축,니근이지만 적근도 나온다.

대풍귀(大風貴)
대형종으로 희엽이다.
신아는 연초록색의 호로 나오며 자라면서 황색의 호로 변하는 후천성이다.
변화가 무척 심해 호,무지로 자주 변한다.월형에 청축,청근이다.

대홍(大虹)
호 계통이다.대형의 희엽으로 약간 폭이 좁다.
농록색의 잎에 선청성 유백색을 비롯하여
다채로운 색상을 나타내는 웅대한 잎 모양이다.
월형에 축은 약간 자홍색을 띠며 뿌리는 엷은 다갈색이다.

도우이중(都羽二重)
호 계통이다. 잎은 넓고 두터우며 길이가 10cm 전후인 대형종으로 입엽이다.
선청성의 백색호가 깔끔하게 드는 오래된 품종인데
잎이 오래되면 황색으로 물든다.
일반적으로 가는 호는 백색이며 넓은 호는 황색이다.축은 자홍색이다.
애란가라면 이품종에서 한 단계 위인 어기를 꿈을 꾼다.
재배는 질소분이 많은 화학비료의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

도원(桃源)
화예품 계통이다.오래된 품종으로 부홍색을 대표하지만 색이 엷다.
잎은 9cm전후로 폭이 약간 좁으며 완만하게 굽은 활 모양이다.

도황(桃煌)
화예품 계통이다.도원보다 꽃색이 짙으며 꽃대와 거에 진한 붉은 색이 물든다.
잎은 뾰족하며 약간 긴 희엽성이다.
빛이 강하면 축과 잎에 작은 반점이 나타난다.

도희(桃姬)
화예품 계통이다. 중형으로 표준형의 잎이며 초록색은 진하지 않다.
월형,니축,니근이다. 옥희(玉姬)라는 이름으로 유통되고 있다.

동양금(東洋錦)
호 계통이다.두터운 입엽의 중형이며 끝은 둥글다.
호 무늬는 서와 동양전의 중간이며 초록색이 중앙에 든다.
이외에도 서반이 들어가며 둘레에 초록색이 물드는 등의 변화가 있으나
양쪽 어느 쪽으로나 변화하는 가능성이 크다.니축,청근이다.

동양전(東洋殿)
호 계통이다. 엽육이 두터운 입엽이며 약간 대형이다.
백색의 산반호가 한 줄 내지 두 줄 나온다.
품종인 서(曙)에 호가 들어간 것이다.니축이며 청색에 가까운 니근이다.

동천홍(東天紅)
화예품 계통이다.잎은 약간 좁고 길이는 8cm전후의 입엽으로 담록색이다.
개화한 꽃색은 엷은 분홍색이지만 예주는 붉다.
월형에 니근이지만 청근에 가까우며 축은 적갈색이다.

동출도(東出都)
복륜 계통이다.잎은 좁고 길며 끝이 가늘면서 뾰족하다.
잎 겹침이 느슨한 희엽이다.
선청성 백색 복륜인데 바탕은 풀을 먹인 듯하며 경계가 뚜렷하지 않다.
월형에 니축 니근이지만 적근에 가깝다.

두금강(豆金剛)
단엽종 계통이다. 잎은 길고 짧은 것이 섞인다.

두환(兜丸)
무지 변이엽 계통이다.잎 폭이 넓고 두터우며 초록색이 진하다.
단엽종에는 수가 적은 완전한 청축에 청근으로 잎 겹침과 잎 모양이 좋으며
붙음매는 산형이다. 대주로 만들어도 감상가치는 더한다.
오래되어 잎 겹침이 많은 것은 연한 황색의 축이다.

만국환(萬國丸)
복륜 계통이다. 중형이지만 대형에 속한다.
선청성의 연초록색 복륜이다.
신아는 초록색이 적게 들어 나와도 성촉이 되면서
복륜의 폭이 넓은 안정된 무늬를 나타낸다.
잎은 약간 가늘고 길다.월형에 니축,니근

만엽관(万葉冠)
서 계통이다. 금모란에서 변화한 품종으로 소형이다.
천엽은 황색으로 나오지 않치만 후에 황색이 되며 홍외도 나온다.
월형,니축 적근이다.

만월(滿月)
복륜 계통이다. 부귀전과 쌍벽을 이루는 품종이다.
부귀전에 비해 약간 여성적인 느낌이 드는 황색 대복륜이다.
천엽은 엷은 황록색이며 부귀전과 구별이 되는 근거가 된다.
월형,니축이다.

명정금(明淨錦)
호 계통이다. 태양전이 더욱 단단해진 모습이다.
백색의 선천성으로 나와서 엷은 황색으로 변한다.
비교적 안정된 무늬이다. 월형,청축,청근이다.

몽환(夢幻)
무지변이 계통 소형의 단엽종으로 잎끝이 약간 뾰족하다.
잎은 담록색으로 휘어지며 끝은 밑으로 꺾인다.
월형에 니축 니근

무도호(霧島縞)
호 계통이다. 묵취(墨翠)의 형제목에서 투명한 백색호로 나온 것이다.

무학(舞鶴)
무지엽 계통 단엽종 중에서도 2cm 전후로 소형종에 속한다.
잎 겹침이 좋고 끝이 둥글며 다른 단엽종에 비해
중앙부가 움푹들어간 노수엽이다. 초록색은 진하지 않다. 산형에 니축이다.

묵류(墨流)
묵류 계통이다. 잎은 폭이 넓고 두터우며 길이가 6cm 전후의 입엽이다.
잎의 앞면과 뒷면에는 먹을 흘린듯한 윤기 있는 호가 들어있다.
청축에 청근이며 성장기는 뿌리 끝이 투명해 아름답다.
묵이 없거나 적으면 크게 자란다.
이 중에서 작은 것은 摺墨이라는 품종이며 상품으로 분류한다.

묵산(墨山)
무지 변이 계통 단엽으로 잎 뒤에 묵이 강하게 들어간다.
미등록 품종이다.

묵취(墨翠)
호 계통이다.무도호와 형제목이다.
천엽에 검붉은 호가 나오며 잎이 벌어지면서
검붉은 색이 검은 색으로 지금까지 없었던 예이다.
더욱이 초록색 호와 백색호가 조금 흩어진듯이 보인다.
미등록 품종이다.

미가등 복륜(美加登..)
복륜 계통이다. 1925년 이름이 붙여진 미가등에서 변이된 품종
모든 것이 금두와 비슷하나 약간 대형이며 평균적으로 무늬가 잘나온다.
월형에 니근,니축이다.

박묵금(薄墨錦)
호 계통이다.중형으로 잎은 가늘고 휘어지며 잎겹침이 약간 느슨하다.
천엽은 연한 황색바탕에 약간의 산반호와 감호가 들어 있다.
뒤에 산반은 소멸되고 농록색의 호만 남는다.월형에 니축,니근이다.

백모란(白牡丹)
산반호 계통이다.
오래된 품종으로 잎 길이가 8cm 전후로 폭은 넓고 약간 휘어지는
희엽이다.
천엽이 나올때는 백색 유령바탕에 산반과 푸른 호피반이 나타난다.
마지막 잎 4~5장을 남기고 2년째 쯤부터 오래된 잎의 호피반은
소멸되고 호만 남는다. 새잎은 윤기가 있다.
월형에 니축에 루비근이다.
신아가 진학의 무늬처럼 나오는 것이 최고 품종이다.

백묘(白妙)
호 계통이다. 중형으로 입엽의 희엽이다.
농록색에 선청성으로 백색호가 들어 있다.상품(上品)은 백색호에 산반이 든다.
붙음매는 월형이고 축은 약간 흐리나 뿌리는 청근으로 대단히 아름답다.
등록 품종이다.

백옹사자(白翁獅子)
호 계통이다.낭하사자에 백색호가 나타난 것으로 백색호는 잎 뒤에까지 빠진다.
모촉과 다른 무늬를 내는 것도 가끔있다. 월형에 니축,니근이다.

백운각(白雲閣)
복륜 계통이다.신아는 설백색의 유령으로 나와서 점점 초록색이
들며 마지막에 백색의 축입 복륜이 된다.
예가 좋은 것은 성장 후에도 백색 조를 남긴다.
뿌리는 백색으로 나와서 자홍색으로 변하며 가을까지 계속된다.
월형에 니축이다.

백청룡(伯靑龍)
호 계통이다.
잎은 농록색이며 길이는 6cm 전후로 잎 끝은 뾰족하며 약간 입엽이다.
완성된 무늬의 백색은 부귀란 중에서 제일 흰 것으로 생각된다.
호 부분이 오목하게 들어가서 햇빛에 타기 쉬운 것이 흠이다.
월형,진한 니축,니근이다.

백황(白皇)복륜
약간 대형으로 잎이 휘어지며 선청성 축입호를 걸치는 백복륜이다.
잎은 두터우며 준하복륜과 닮았으나 예는 서출도에 가깝다.
월형에 니축,니근이다.

변경환(弁慶丸)
무지변이 계통이다. 잎은 길이 3cm 전후의 소형종이다.
엽맥을 중심으로 반으로 접은 듯이 되기 때문에 옆에서 보면
낫이 좌우로 나와있는 모양이다.붙음매는 물결모양이 있는 월형이다.
뿌리는 진한 갈색이다.
꽃은 약간 작고 꽃대와 거에 초록색이 남으며 설 끝이 둥글다.
유사 품종인 사청해에 비해 뿌리가 붉다.

보검(寶劍)
관설에서 변화한 품종으로 직도형의 잎에 설백의 심복륜이
나타나고 약간 안쪽으로 굽어진 활 모양의 입엽이다.
축은 붉고 뿌리는 루비색이지만 적다색의 뿌리도 섞여 있다.
고정품은 적으며 겨울에 홍색으로 물든다.

보금(寶錦)
호 계통이다. 잎 폭은 좀 넓으며 길이는 7cm 전후로 표준보다 약간 큰 희엽으로
두텁고 짙은 초록색에 노수엽이 섞인다.
새잎은 황백색의 호가 나오는데 성장하면서 뚜렷해진다.
월형,니근,니축이다. 꽃대에는 작은 적갈색 점이 나온다.
유사품인 금두보다 무늬색의 황색이 백색에 가깝다.
본종의 호가 복륜으로 된 것이 보복륜
중반으로 된 것이 보금중반 이라고 한다.

보금중반
중반 계통이다. 보금에서 초록색 복륜을 쓴 중반으로 된 품종이다.

보복륜
보금이 아주 노란 대복륜이다.
잎은 두터우며 폭도 넓은 대형으로 관상가치가 크다.

보생전(寶生殿)
호,호피반 계통이다.잎은 얇고 담황색의 희엽성이다.
무늬는 상품은 아니지만 무지엽에 가까워지면 서호반이 나타난다.
호와 호피반의 이예품이다. 월형,니근,니축이다.

보선(寶船)
산반호 계통이다. 잎은 폭이 넓고 두터우며 윤기가 있는데 끝은 뾰족한 편이다.
천엽은 입엽인데 성장하면서 노수엽이 되는 희엽이다.
극황색의 산반호로 기부까지 소멸되지 않는다. 우의 보다 황금색이 더 강하다.
월형에 니축,니근이다.

보울두(寶울斗)
무지변이 계통
잎은 폭이 넓고 길이 7cm 전후로 윤기가 없으며 약간 휘어지는 입엽이다.
나사지에 흰 실을 흘린듯한 선이 있으며 먹류도 보인다.
管葉에 적엽(摘葉) 그리고 울두예가 서로 섞여있는 특수한 품종이다.
월형,니축,니근이다.

복수환(福壽丸)
무지변이 계통 잎은 폭이 가는 후육으로 길이가 4cm전후로 소형이며
골이 깊지 않고 몽둥이 처럼 보인다.잎모습이 좋고 잎장수도 많고 번식도 좋다.
월형,니축,니근 동형의 청축 청근을 봉황환이라고 한다.

봉(鳳)
중반 계열이다. 부사금에서 변화된 품종이다.
모종처럼 잎모야이 단정하고 무늬가 백색이 되지 않은 품종으로
농록색 바탕에 중앙을 관통하는 중반이다. 월형이다.

봉옥(鳳玉)
무지변이 계통 단엽종이며 비교적 새로운 산채품이다.
잎은 두터우며 폭이 1cm 정도로 넓고 길이는 2cm 정도로 짧으며
옥금강과 무학의 중간종으로 미등록 품종이다.

봉황전(鳳凰殿)
서호반 계통이다. 잎은 길이가 7cm 전후로 초록색은 진하지 않고 윤기가 없으며 거칠다. 잎끝은 약간 둥글다.
백색의 약간 흐린 호피반에 복륜을 걸치며 작은 적갈색 점이 나오기 쉽고
홍외도 잘 나온다. 월형에 니축

봉황한(鳳凰丸)
무지변이 계통
복수환을 닮은 청축,청근이며 황색의 무늬가 잎가장자리에 나온다.

부귀전(富貴殿)
복륜계통이다.중형이나 큰부류에 속한다.
잎은 폭이 넓고 엽육이 두터우며 약간 휘어지는 희엽이다.
유백색의 대복륜이며 선청성인 것이 특징인데 이 점이 만월과 구분되는 점이다.
니축에 뿌리는 붉은 기가 있는 니축이다. 꽃은 봉오리까지 홍색이다.

부사금(富士錦)
호 계통이다.잎은 길이 7cm전후로 희엽이며 잎 겹침이 좋으며 초록색이 진하다.
새잎이 나올때는 노란색인데 점점 희어진다.
모양이 단정한 귀품있는 품종으로 붙음매는 일문자이며 니축,니근이다.
팔중의와 비슷하지만 본종이 축이 더 진하다.
본종의 호가 복륜으로 된 것을 부사복륜
중반에 초록색 복륜을 둘러 쓴 것을 봉(鳳)이라 한다.

부사(富士)복륜
최상작의 부사금의 호가 복륜으로 변화한 품종이다.
초록색이 진하며 무늬색인 백색과의 색 대비가 아름답다.
월형이며 축은 오래되면 자홍색으로 물들고 청근이다.

부사봉(富士峰)
호 계열이다. 부사금을 닮았으나 황색이 약간 진하며
모습도 부사금 만큼 정연하지 않다.
성장과정에서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으나 축과 잎이 모두 가늘다.
월형,니축이다.

부악(富嶽)
호 계열이다.잎은 폭이 넓고 모습이 좋다.
실생 산반호까지 몰아서 넣었기 때문에 대형,중형등 여러가지 계통이 있다.
백황색 산반에 호가 섞여있다.월형에 니근.니축이다.

부용금(芙蓉錦)
산반호 계열 부악에서 선별된 초대형 품종이다.
희엽으로 잎 끝은 약간 굽었고 골이 깊으며 폭이 몹시 넓은 산반호이다.
월형으로 뿌리는 니근이다.

부지화(不知火)
호피반 계열 잎은 끝이 뾰족하다.
그늘에서 재배하면 무늬가 선명해 지지 않으나 빛이 강하면 담록색 바탕에 초록색의 호반이 든다. 그 색상은 금루각처럼 화려하지 않다.
푸른색의 붙음매에 월형이며 청축,청근이다.


중반 계열
잎은 두텁고 새잎이 나올때 백색바탕에 선명한 초록색 복륜을 쓰지만
차츰 안개로 가려진 듯이 희미한 청색을 띠어 엷은 흰색바탕에
초록색 복륜이 된다.
바탕색과 복륜 사이에 흰색의 줄이 있으며 잎 뒷면은 먹물을 흘려 놓은듯 하다.
유일한 루비색으로 아름답다. 호동금과 더불어 최고의 귀품이다.

비금
복륜계열이다. 백색의 선청성으로 백황색 복륜이 된다.
엽육도 두터운 희엽으로 중형의 큰부류이며 모습도 정연하다.
새잎이 나올때는 백색이지만 후에 황색호 내지 복륜으로 바뀐다.
월형,니축,니근

비미호(卑彌呼)
무지변이 계열 모양은 변경환을 닮았으나 잎이 적게 굽어 내리며 두겹으로
접은 듯하며 잎이 느슨하다. 크기는 두배정도 된다. 월형,니축,니근

비복륜
선청성의 백복륜이나 오래되면 황복륜이 된다.
바탕은 거칠고 잎뒤에 먹이 흐른다.
축은 자홍색으로 아름답고 새잎은 노란색으로 화려하게 나오면 신월전이 된다.

비예
중반 계열
건국전에서 변화된 품종이다.
잎 끝이 위를 향한 노수엽형의 입엽으로 잎에 힘이 있어 보인다.
비를 닮았으나 잎 가장자리에 무늬가 있어 모종보다 더 아름답다.
잎은 폭이 넓고 끝이 뾰족하며 거친 금색바탕에 진한 초록색 복륜이다.

비지광
중반 계열
중형의 희엽으로 후천성의 극황색 중투에 초록색 복륜이라는 귀품이다.
강하게 빛을 주면 황금색으로 물든다. 월형,청축,황근이다.

비충(비蟲)
무지변이 계열
소형이지만 잎은 길이가 5cm 전후로 폭이 넓고 두터운 삼각형으로
영충보다 크고 휘어지며 잎 겹침도 느슨하다.
잎 끝은 예리한 검엽이며 바탕은 윤기가 없다.
붙음매는 물결형,니축이나 뿌리는 다갈색으로 영충의 청근과 구별이 된다.

비취(翡翠)
부귀란 녹화이다.잎은 폭이 약간 좁은 잎엽이며 농록색으로 끝이 뾰족하다.
꽃은 초록색으로 여러 녹화중에서도 가장 진하다.
꽃잎과 거는 초록색이며 설판은 백색으로 이른바 녹판백설화이다.

비후금(肥後錦)
호 계열이다.보통 크기의 풍란으로 백황색 호가 뒤섞여 있다.
붙음매는 월형이다.

사광전(司光殿)
호 계열이다.
잎 길이는 8cm 전후로 폭이 넓고 두터운 입엽으로 끝이 뾰족하다.
무늬는 진하지 않은 초록색에 연한 노란색호와 초록색 호가 들었으나 무늬가 잘 보이지 않는다. 월형에 니축이다. 장생전(長生殿)의 모종이다.

사자갑용(獅子甲龍)
무지 계열이다. 중형의 잎은 표면에 큰 갑룡이 들었으며 예가 든 잎은 굽어지나
예가 없는 잎은 보통잎으로 되돌아 온다.
초록색은 진하지 않으며 갑용이 많이 나온 포기는 소형이다.
월형,니근,니축

사자왕금(獅子王錦)
호 계열이다. 세엽에 입엽으로 길다.
백색의 산반호로 소멸성인데 잎이 오래되면 호모양의 감호가 남으며
잎 뒤에 먹을 흘린다. 전체적으로 작은 적갈색 점이 나온다.

사자황전(獅子皇殿)
복륜 계열이다.
사자왕금에서 복륜으로 발전한 품종이다.
백색 복륜이지만 가는 백색 산반으로 그다지 심복륜이 되지 않으며
끝에는 연초록색으로 변한다.

사진보(四眞寶)
무지 계열이다. 소형으로 윤이 나는 단엽종이다.
잎겹침이 좋으며 엽육이 두텁고 끝이 둥글다. 월형에 청축,청근이다.

사청해(絲靑海)
무지변이계통이다.
잎길이 5cm 전후의 소형종으로 얇으며 끝이 가늘고 길어서
크게 휘어지지만 끝이 노수엽이 된다.
붙음매는 물결형,뿌리는 청축에 가까운 니근으로 변경환과 구별이 된다.

사해파(四海波)
중반 계열이다. 잎은 희엽으로 초록색 복륜의 백색 중투이다.
어성복륜을 재배하는 중에 백색중반으로 나오는 경우가 있으나
다섯장 부터는 본래잎으로 나와서 어성으로 다시 돌아간다.
따라서 본종은 희귀품이라 할수있다. 월형,축은 투명하고 청근이다.

살마부사(薩摩富士)
호 계열이다. 중형의 희엽으로 잎의 폭은 약간 좁다.
초록색이 진하지 않은 바탕에 초록색 산반호와 연초록색의 호가
잎 전면에 나타난다. 월형,니축,니근

삼광금(三光錦)
호 계열이다. 조일전을 닮았다.
잎은 폭이 넓고 두터우며 끝이 약간 뾰족하다.
선청성 황색과 백색 호로 천엽에도 뚜렷하다. 월형,니축이나 자홍색이다.

삼광복륜(三光覆輪)
삼광전에서 복륜으로 변한 품종이다.


삼광전(三光殿)
호 계열이다.
잎 길이가 6cm 전후의 희엽으로 중형에 속하지만 약간 크다.
잎은 폭이 좀 좁으며 엽육도 얇고 길다.
잎겹침이 느슨하여 모양 좋게 재배하기 힘들다.
태양전에 백색호가 나온 것이지만 백색 부분은 불안하다.월형,청축,청근

삼롱지호(三瀧之縞)
호 계열로 중형으로 선청성 황색호이다.
겨울이 되면 극황색으로 변한다. 잎은 폭이 넓고 끝이 둥글며 월형,니축,적근

삼보금(三寶..)
산반호 계열이다. 희엽으로 세엽이다.
신아는 백색호와 황색호를 나타내지만 자라면서 산반황호로 변한다.
성촉이 되면 잎뒤에 먹줄을 그은듯한 묵을 나타낸다. 월형,청축,백근이다.

상총지무(上總之舞)
무지변이 계통 중형의 만곡엽이다. 엽육이 두터우며 기부가 평평하다.
붙음매는 일문자에 가까운 물결형이고 꽃은 적색이다.

서(曙)
중반계열이다.
잎은 길이 7cm 전후로 얇으며 통엽(桶葉)에 입엽으로
초록색 바탕은 광택이 난다.
깨알무늬가 든 엷은 황색의 중반이 끝까지 관통한다.
잎 뒷면은 초록색 반호가 들어있다.
월형에 니축,청근

서운(瑞雲)
호피반 계열이다.
천엽 1~2장은 선명한 황색인데 후에 소멸된다.
꽃은 봉오리까지 황색이며 개화하면 색이 바래진다.

서정(瑞晶)
준하복륜이 화려한 소형으로 변화 한것을 말하는데
소형으로 된 동출도도 서정이라 한다.
잎은 폭이 좁고 엽육도 얇다.

서출도(西出都)
잎은 5cm전후의 중형으로 많이 휘어지지않는 후엽으로 끝까지 같은 폭이며
끝은 둥글다.
백색의 복륜이지만 끝에서 축입호 기부쪽에서 복륜이 든다.

석월(夕月)
호피반 계열
중형이며 전체적으로 엽록소가 적은 담록색이다.
천엽은 백색으로 나와서 약간 담황색을 띤다.
잎은 휘어지며 끝은 올라간다.
백색 호피반을 남기지만 그수는 적다.
청축으로 보이지만 오래되면 분홍색이 든다.
뿌리는 분홍색이다.

설광(雪光)
호피반 계열
중형으로 잎은 두터우나 가지런하지 않으며 귀모전을 닮았다.
농록색 바탕에 백색호가 드는데 호부분이 타기쉽다.
월형에 청근,청축

설산(雪山)
호피반 계열
잎은 6cm전후로 얇으며 폭은 약간 좁다.
백색의 호피반으로 무늬를 내는 개체가 많다.
월형,니축,니근

설주(雪舟)
호피반 계열
일본 오키나와와 규슈남쪽 사이에 있는 아마미산으로 약간 대형이다.
엽육이 두텁고 폭이 넓다.
천엽은 설백색이며 다 자라기전에 소멸한다.
월형에 니축 니근

성광전(星光殿)
중반 계열
청사자에서 변화된 녹복륜,백황색 중투이지만 무늬가 나오면
정상적인 잎모양으로 되돌아 가는 일이있다.
잎은 5cm전후로 중입엽이다.
붙음매는 잎의 변화에 따라 변하며
청축,청근이다.

성대(聖代)
무지변이 계열
이세왜계가 청근으로 변한 것이나 축은 니축이다.
소형종으로 잎은 폭이 넓고 두꺼우며 휘어지는 긴 두엽이다.


성산금(星散錦)
나도풍란이다.
잎에 은하수를 뿌린 듯 성반이 들어있다.
연한 연초록색이 신아 때부터 나타나는 성반은 소멸되지 않는다.


성성(猩猩)
화예품이다.
잎은 6cm전후로 두터우며 농록색의 입엽이다.
꽃눈은 검은 색의 가까운 진한 자홍색이기 때문에
쉽게 알아볼수 있다.
주천왕과 비슷하다.

성수(聖壽)
무지변이
두환을 약간 확대한 느낌을 주는 품종으로 청축에 청근이다.

성차(星車)
화예품
중형으로 잎은 세엽의 중입엽으로 초록색이 진하지 않다.
꽃에는 거가 없는 6판화이다.
월형에 니축,니근

세지무(笹之舞)
기엽계열
아마미 풍란에서 선별된 품종
침염이 길어지기 때문에 전체가 흔들리는 듯한 느낌을 준다.
잎 겹침이 좋으며 장수도 많이 나온다.
붙음매는 일문자에 가까운 물결형이다.
니축에 청근이다.

소환(小丸)
무지변이 계열
입엽형의 두엽으로 개성이 뚜렷한 품종이다.
소형이면서 잎이 가늘고 엽육이 통통하다.
붙음매는 일문자이며 니축에 니근이다.
꽃은 거의 피지않으나 거(距)가 없는 3판화이다.

수애(垂崖)
화예품이다.
중형의 입엽이며 잎은 중앙부의 폭이 넓고 끝은 약간 뾰족하다.
붙음매는 아래 위가 연속된 물결형의 특이한 형태로 니축에 니근이다.
꽃은 끝에 분홍색이 물든다.
거는 꽃대의 기부에 밀착하여 아래로 처진다.

수파사자(穗波獅子)
무지변이엽
잎은 길이 6cm 전후의 중형인데 가늘고 두터우며 끝이 예리하다.
벼이삭이 흔들리는 모습이다.
잎장수가 많다.
제 경험으로는 축이 휘어지면서 많은 신아가 붙는다.

수정 (水晶)복륜
무늬의 경계가 뚜렷한 순백색의 복륜
일 가장자리가 예리한 중입엽이다.
일 뒤에 점점이 뿌린듯한 성반이 있으며 뿌리는 진한 다갈색으로 탁하다.
겨울철에는 붉은 안토시안색소가 가늘게 홍외로 나온다.
월형,니축,니근이다.

승문지광(繩文之光)
호피반 계열
약간 소형종으로 잎 끝은 약간 뾰족하고 휘어지는 수엽이다.
빛을 많이주면 황색이 잘 나타난다.
월형,청축,청근

신대(神代)
금두가 중반으로 변화한 것이다.
이 품종에서 금두로 되돌아가지 않으나
금두에서 본종으로 잘 변한다.
선명하고 폭이 넓은 무늬가 나오면 아름답다.
좋은 무늬의 계속성은 없다.


신월전(新月殿)
서복륜 계열
비복륜의 유령바탕에 노란색의 호반이 들어있다.
잎은 약간 입엽으로 중형이며 연초록색 바탕에 엷고 가는 세복륜을 걸친다.
월형,뿌리는 루비색,

신풍(神風)
어렴령에서 나오는 유령목중에서 중심부에 초록색이 남는 것을 말한다.
잎은 폭이 넓고 두터우며 길이가 긴 대형종으로 윤기가 있다.
연한 황색의 심복륜을 걸친다.


신호동(新湖東)
잎은 약간 좁으며 뾰족한 선청성의 백색호이다.
관설을 닮았으나 잎끝이 뾰족하며 호의 경계가 흐릿하다.
호가 든쪽으로 굽어지는 성질이 있어 잎모양이 나쁘다.
월형에 니축이다.

신호동 복륜
신호동이 복륜으로 변화한 품종이다.


십이단(十二單)
무지변이 계열
잎은 입엽으로 농록색이며 폭과 축이 모두 넓고
잎끝은 예리하며 뾰족하다.
노촉이 되면 크게 한쪽으로 기울어 진다.
잎겹침이 좋고 붙음매는 물결형이다.
청축,청근으로 번식이 매우 좋다


아천락(雅天樂)
편복륜이다.
소형중 큰부류에 속하며 폭은 약간 좁지만 중앙부가 약간 넓으며,
끝이 뾰족하면서 노수엽이 된다.
무늬는 잎 가장자리에 점과 가는 백황색 편복륜이 나타난다.
엽성이 좋고 번식도 좋다.
월형,니축,니근


안마울두(鞍馬울斗)
무지변이 계열
잎은 농록색으로 길이 8cm 전후의 표준형으로 가늘고 뾰족한데
관(管)엽과 적(摘)엽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
월형에 니축,니근


양귀비(楊貴妃)
서 계열
중형이며 모든잎에 황색이 강하게 나타나는데
잎에서 축,뿌리에 이르기까지 황색일변도 이다.
꽃은 봉오리까지 황색이지만 개화를 하며 백색이다.
월형,황축,황근

양귀희(楊貴姬)
호 계열
약간 대형이며 잎이 두터우며 폭이 넓다.
금과금의 잎모양을 닮았다.
백황색 호이지만 무늬가 고르지 못하며 안정된 것은 적다.
월형,청축,청근이다.


양명전(陽明殿)
조일전에서 발전한 것으로 잎은 전면이 백황색 바탕이며 주변에 약간 초록색을 남긴다.
묵은 잎은 화려하며 축은 자홍색이고 뿌리는 두두러지게 붉다.

양염(陽炎)
무지계열
소형의 보통잎으로 희엽성이다.
새잎은 레몬색에 가까운 노랑색을 띠며 성장하면서 초록색으로 변하는데
새잎은 일년 내내 노란색을 띠어 아래쪽의 농록색잎과 색대비가 좋다.
꽃도 크림색으로 피며 성질도 강하다.
월형,니축,니근

어검(御劒)
귀모전에서 변화한 중형종
잎은 가는 입엽에 활모양으로 안쪽으로 휜다.
선청성 설백복륜이다.
화려한 것이 많으며 유령으로 나오는 신아가 많아서 번식은 나쁘다.
월형,청축,청근
본종과 어검,보검을 삼검이라 한다.

어기(御旗)
도우이중에서 복륜으로 변화한 품종이다.
잎은 농록색의 두텁고 폭이 넓은 입엽에 대형종으로 웅장한 모습이다.
백색의 선청성 복륜이며 성촉이 되면 황색이 증가한다.
월형에 니축이다.

어렴령(御簾影)
잎 길이 10cm 전후로 폭이 넓고 두터운 잎엽으로 표면에 윤기가 있으며
비단처럼 부드러운 대형종이다.
담황색호에 감호가 섞이는 것이 본예이지만
초록색 바탕에 연초록색 호가 한두줄 든 것이 보통이다.
월형,니축,니근

어성금(御城錦)
부귀란 호
(설명 없음)

어성 복륜
잎 길이 6cm 정도로 폭이 표준형이지만 약간 두텁고 끝이 다소 뾰족하다.
무늬의 경계도 뚜렷하지 않다.
월형,니축,청근이다.
천혜복륜,월계관의 모종이다.


엄미풍란(奄美)
일본 규슈(九州) 남단과 오키나와 사이에 있는 아마미에 자생하는 풍란으로
대형종이다. 일반풍란보다 꽃은 다소 늦게 핀다.


여고외(여高외)
고외의 잎표면에 가로 세로로 줄모양의 가는 금이 들어간 것인데
나머지는 고외와 같으나 호피반은 소멸되기 쉽다.
잎은 두터우며 폭이 넓은 희엽으로 표면에 줄처럼 까칠까칠한 줄이 들어있는데 빛이 바랜듯한 흰색의 호피반이 들어 있다.
니축,니근이지만 청근도 있다.

연성환(蓮城)
복륜 계열이다.
잎 길이 7cm 정도의 희엽성으로 끝은 둥근 맛이 나며 엽성이 좋다.
천엽이 나올때는 황백색이지만 후에 황복륜으로 변한다.
잎이 오래되면 황갈색의 심복륜이 들며 가을에는 색이 선명해 진다.
햇빛을 많이 주면 호피반이 드는데 꽃은 분홍색이다.
월형,니축,니근이다.


영봉(靈峰)
호피반 계열이다.
중형이나 약간 세엽에 입엽이다.
마지막 잎만 가을에 설백색이 된다.
월형,니축,니근이지만 가을에 나오는 뿌리는 모두 아름다운 루비색이다.


영충(鈴蟲)
무지변이 계열
두엽중에서 잎 길이가 1 ~ 3cm인 소형이다.
두터우며 짧고 긴 잎은 서로 섞인다.
잎 끝에 5mm 정도 되는 영충검이 돌출되어 있다.
붙음매는 물결모양의 일문자이며 투(透)축에 청근이다.


오모자환(烏帽子丸)
무지변이 계열
잎은 얇고 폭이 넓으며 기부보다 끝쪽이 둥글고 넓다.
잎 표면은 조잡하고 울퉁불퉁하며 불에 비추어 보면 그물모양으로 보이기
때문에 간망(干網)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다.
월형,니축,니근이다.


옥관(玉冠)
복륜 계열
중형으로 엽육이 두터우며 잘 휘어지지 않는다.
서출도에서 황복륜으로 변화한 품종이다.
월형,니축,니근이다.


옥금(玉錦)
복륜 계열
진학에서 복륜으로 변화한 품종이다.
잎 길이 3cm 전후의 소형이며 아름다운 곡선을 그리는 희엽에
서출도와 같은 백색 복륜이 들어있다.
잎 전체에 분홍색을 물들이는 경우가 있다.
붙음매는 일문자이지만 산형도 있다.
진한 니축에 니근으로 햇빛을 강하게 주면 작은 갈색 반점이 나오기 쉽다.


옥금강(玉金剛)
무지변이 계열
두엽의 대표 품종이다.
잎은 길고 짧은 것이 혼재하며 끝이 둥글고 겹침이 좋으며
좌우로 잘 뻗어 큰 포기로 재배하면 모양이 좋다.
붙음매는 일문자에 가까운 물결모양이고 니축,니근이다.


옥기(玉箕)
산반호인 보선에서 호로 발전한 미등록품종


옥봉전(玉鳳殿)
봉황전의 복륜으로 꽃도 약간 분홍색으로 핀다.
월형,니축이다.


옥장미(玉薔薇)
나도풍란 단엽
청옥환과 비슷한 형질이나 윤생으로 나와 마치 장미꽃과
흡사한 모양을 한다. 청축,청근이며 뿌리가 굵고 짧다.


옥천(玉川)
복륜 계열
잎은 길이 6cm 전후이나 폭이 좁으며 끝이 가늘고 뾰족하다.
잎 가장자리에 이반(耳班)이 들지만 모든 잎에 드는 것은 아니며
잎 한쪽에 나오기 때문에 돋보이지 않는다.
월형,니축,니근


옥천금(玉川錦)
호 계열
잎은 길이 10cm 전후로 약간 가늘지만 두터우며 직선적인 입엽이다.
윤기가 있고 초록색이 진한 바탕에 선명한 황색의 호가 들어 아름답다.
한때 무늬가 나인지광을 닮았다 하여 이에 포함시킨적도 있었으나
본종이 약간 크기 때문에 분리 시켰다.잎이 잘 휘어지지 않으며
잎끝이 뾰족하다. 월형,니축,니근

옥휘(玉輝)
무지변이 계열
소형의 두엽으로 잎의 폭이 넓고 윤기가 있는 나사지이다.
초록색이 진하며 잎 가장자리가 두텁고 끝은 둥근 환엽으로 계단져 있다.
붙음매는 산형으로 진한 니축에 니근이다.

옹사자(翁獅子)
중반 계열이다. 낭화사자백중반의 중반이 더더욱 선명해 진 것이다.
이 품종은 중반이 뒤쪽까지 나와있는 것인데 역시 소멸된다.

용모(龍모)
무지변이 계열
잎 뒤에 배골이 없어서 뒤틀어지는 기엽이다.잎은 끝이 작은데다
모양이 두쪽으로 갈라지는 연미(燕尾),배골이 엇갈리는 것
뭉뚝한 모양으로 나오는 것,등 다양하다.
붙음매는 월형에 일문자형이 섞인다.청축에 청근이다.

용모호
호 계열이다. 중형중에서도 작은 편에 속한다. 변화가 많은 용모중에서
호가 나온 것이다.

용왕전(龍王殿)
복륜계열이다. 대혀의 중입엽으로 잎은 두터우며 폭이 넓은 백황색 대복륜이다.
월형에 니추,니근이다.

용호(龍虎)
부귀란 호피반 계열이다.(설명은 없음)

우약환(牛若丸)
무지변이 계열이다. 잎은 소형으로 많은 변화를 보이는데 초록색은 진하지 않고
나사지가 들어 있으며 요처 모양으로 울퉁불퉁한데 오목한 부분은 반투명으로
무늬가 든 것처럼 보인다. 최상품은 붙음매 부근을 중심으로 잎전체가
쭈글쭈글하다. 붙음매는 여러 형태가 있고 청축,청근이다.

우의(羽衣)
호,산반호로 아마미 산이다.
잎 길이 9cm 나 되는 희엽이며 엽육이 약간 두텁고 끝이 뾰족한 노수엽이 많다
황색바탕에 초록색 반호가 들어가거나 호피반이 나온다.
잎이 오래되면 무늬가 소멸된다. 월형,니축,니근이다.

욱황보(旭黃寶)
부귀란 복륜으로 폭이 넓은 입엽의 대복륜이다.미등록품종


운룡롱(雲龍瀧)
호 계열이다. 잎은 완만하게 휘어지면서 끝이 노수엽이 되는데
이 것을 운룡형이라 한다.
무늬는 전형적인 후발성으로 다음해에 나타날 정도이다.
월형에 니축,니근이다.

운해(雲海)
화예품 계열이다. 소형으로 폭이 넓은 희엽이다.
꽃은 청해와 비슷하며 진한 분홍색 기화이다. 니축에 니근이다.

원앙무(鴛鴦舞)
나도풍란 편산반호 농록색 잎가운데 엽맥을 중심으로 한쪽에만 산반호가
나타나는데 모든잎이 한결같다. 무늬가 든쪽은 들지 않은 쪽보다
생장량이 적어 잎이 아치모양으로 굽어진다. 무늬가 든쪽의 뿌리는
엽록소가 없다.

월계관(月桂冠)
어성복륜이 변화한 품종이다. 잎 길이 6cm 정도의 끝이 뾰족한 입엽으로
복륜이 길게 들고 휘어지며 새잎은 심복륜으로 나와서 오래되면
백색이 엷은 황색이 된다. 월형,처축,청근

월백(月魄)
나도풍란 황하소심이다.
뿌리까지 황색이다.

월전(月殿)
호계열이다. 잎 길이 보통 7cm 이지만 작은 품종도 있다.
천엽이 나올때는 황색의 호와 산반이 전체적으로 나타나며 봄부터 가을까지
계절의 변화에 따라 소멸한다. 월형에 니축,적근이다.

유곡금(幽谷錦)
호 계열이다. 잎은 초록색이 진하며 길이 7cm 전후로 잎끝이 뾰족하고
두터운 입엽으로 윤기가 있다. 천엽이 나올때부터 선명한 황색의 호가 드는데
화려한 것은 호피반처럼 보인다. 월형이며 축은 약간 색이 물들고 청근이다.

유곡복륜
유곡금이 황복륜으로 발전한 품종이다.

유선(幽仙)
호계열이다. 중형의 입엽으로 유곡금을 닮았으나 윤기가 있는 잎에
선청성의 감호와 담황색 호가 들어있다. 월형,청축,청근

은령(銀嶺)
서호반이다. 미등록품종이다.

은세계(銀世界)
서출도에서 변화된 품종이다.
본종에서는 서출도로 잘 되돌아 가지만 서출도에서는 잘 나오지 않는 품종이다.
엽육이 두터운 입엽으로 잎끝이 안쪽으로 굽어지는 것이 본 예이다.
부틈매는 일문자가 섞이며 니축,니근이다.

은하(銀河)
호 계열로 대형의 후육으로 폭도 넓은 입엽이며 끝이 둥글다.
새잎은 담록색의 호로 오래되면 엷은 백색 산반호를 남긴다.
월형,니축,니근으로 미등록품종

의포금(衣浦錦)
호계열이다. 후발성품종중에서도 아주 늦은 후발성이다.
천엽은 무지이나 오래되면 경계가 뚜렷한 황색호가 된다.
월형,니축,루비근이다.

이세왜계(伊勢倭鷄)
두엽중에서 큰 편이며 잎이 휘어진다.
니근과 청근 두종류가 있는데 니근은 오래된 품종이고
청근은 최근 성대라고 부른다.붙음매는 월형이다.

인보(麟寶)
무지변이 계열이다. 두엽으로 어린잎은 크지만 오래되면 쭈글해져
작아지면서 단엽종 환엽의 표준형이 된다.
붙음매는 물결형이며 니축,니근이다.

일륜(日輪)
복륜 계열이다. 대형으로 잎은 폭이 넓은 입엽의 희엽이며
천엽은 담황색 복륜으로 나와서 차츰 백황색내지 황색으로 변한다.
니축,니근이다.

일월광(日月光)
호피반 계열로 중형이며 천엽은 설백색호에 감복륜을 걸치는데 차츰 소멸되어
엽면에 절반의 호피반이 남는다. 월형,청축,청근

일촌법사(一寸法師)
무지변이 계열로 이품종은 풍란이라고 생각할 수 없을 만큼 길이가 1.5cm정도
이며 좌우의 총 길이도 2cm 정도의 작은 풍란이다.
잎은 농록색의 엽면에 금은라사모양의 빛이 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붙음매는 한일자에 가까운 월형이며 니축,니근이다.

일향금(日向錦)
호피반계열이다.
담황색 호로 나와서 차츰 백황색 호로 변한다.
대형으로 잎 끝은 넓으며 환엽이다. 월형,니근,니축이다.

입대붕(立大鵬)
무지변이계열이다. 잎길이 4cm 전후로 잎 끝은 약간 뾰족하며 농록색에
윤기가 좋으며 중심부의 폭이 넓은 입엽으로 엽성도 좋다.
월형,니축에 뿌리는 약간 고동색으로 물드는 니근이다.
꽃은 거가 다소 짧은 기형이다.

입사전(立司殿)
호계열이다. 잎은 끝이 둥근 소형의 곧은 입엽으로 엽성이 좋고 장수가 많지만
흐릿한 감호가 들어간다. 천엽의 중간부터 기부에 걸쳐 설백색의 이반이
나오는 경우도 있으나 소멸된다. 월형,니근 니축이다.


자식부(紫式部)
화예품으로 분홍색 꽃이 핀다. 잎은 중형으로 윤기가 있는 연초록색의
중입엽이다. 청축,청근에서 색화가 피는 품종은 이 품종 뿐이다.

자진전(紫震殿)
준하복륜에서 변화한 황복륜이다.
천엽은 엷은 크림색으로 나와서 다 크기전에 잎 끝에서 황색으로 물들기
시작한다. 잎은 평엽에 끝이 둥근 선청서이다.
붙음매는 일문자에 가까운 반달형이며 니축이나 뿌리는 처음 루비색으로
나오는 경우가 있는 니근이다.

작광(芍光)
화예품으로 잎은 약간 폭이 좁은 중형이다.
꽃은 꽃대가 나올때부터 붉으며 꽃이 피어도 붉은 기가 그대로 남아있다.
오래된 잎은 뒤에 적갈색의 작은 점이 나온다.
월형,니축,적근이다.


잔월(殘月)
서호반계열로 잎은 끝이 둥글고 설산보다 가는 세엽의 중형이다.
설산과 같은 방법으로 재배하면 호피반이 잘 나타난다.
월형,니축,니근이다.

장생전(長生殿)
복륜으로 사광전에서 변화한 품종이다.
잎은 두텁고 끝이 둥글며 약간 휘어지는 농록색의 대형 입엽이다.
담황색 복륜이지만 경계가 뚜렷하지 않으며 축입호도 나오지만 잘 안보인다.
월형,니축,니근이다.

적룡(赤龍)
화예품으로 적화이다.

정광환(靜光丸)
복륜 계열로 공작환에서 발전 했으나 절종되었다.

정지송(淀之松)
무지변이 계열로 옥금강과 비슷하나 옥금강은 옆에서 보면 잎이 수평에
가까우나 본종은 약간 올라간다. 또 본종은 초록색이 옥금강보다 약한 반면
잎의 폭은 3~5cm 전후로 넓고 두터워 풍만한 느낌이 있는데 놀랄정도로
넓은 것도 있다. 붙음매는 물결형에 가까운 일문자이며 니축,니근이다.

제(帝)
중반 계열이다. 대강환에서 변화된 품종으로 잎은 폭이 넓고 끝이 둥글며
두텁다. 황색 중반은 화려하다. 붙음매는 일문자에 가까우며 축은 자홍색으로
니근은 가늘다.

조락(兆樂)
호계열로 중엽의 큰부류에 속한다. 잎은 세엽으로 얇고 길다.
무늬는 후발성이며 엷은 황록색에서 차츰 농황색으로 변하여 초록색 호가
뚜렷해진다. 월형,니축,니근이다.

조선철(朝鮮鐵)
무지변이 계열로 잎 길이 3cm 전후의 소형으로 폭이 좁고 두터우며 끝이 가늘고
뾰족한 입엽이다.
1년에 5 ~6 장의 잎을 낼 정도로 엽수가 많으며 엽성이 좋다.
꽃은 아직까지 본 적이 없다.
월형,니근,니축이다.

조선철 서(朝鮮鐵之曙)
조선철에 서가 든 품종이다.

조선철호(朝鮮鐵之虎)
조선철에서 백황색 호피반이 나온 것이다.
무늬는 잘 나오지 않으며 잘 소멸된다.

조일전(朝日殿)
호 계열이다. 잎은 길이가 6cm 전후의 중형종으로 희엽인데 바탕색의
초록색이 엷은데다 황색의 호가 처음부터 들어 나오지만 그다지 돋보이지
않는다. 잎은 오래되면 담화액으로 바뀐다. 소멸되는 것과 소멸되지 않는 것이 있으며 본종에서 조일복륜,양명전으로 발전한다.
붙음매는 월형이며 무늬가 잘 나오는 것은 홍축에 적근이다.
꽃은 약간 홍색을 띠는데 성질도 강하고 번식도 좋다.

조일전 복륜
조일전에서 변화한 품종으로 니축에 적근의 중형종이다.
여기서 잎 가장자리에 초록색 복륜을 약간 남기는 것을 양명전이라 한다.
월형,니축,붉은 색에 가까운 니근이다.
꽃은 꽃대까지 진홍색이 되는 경우가 있다.

조하(朝霞)
호 계열로 엽육이 두터운 약간 대형종이다.
무늬는 새잎일때 엷은 백록색의 삼광호로 나오지만 소멸성이다.
월형,진한 니축,니근이다.

좌수환(佐須丸)
무지변이 계열로 소형의 두엽이지만 잎끝이 뾰족하다.
잎이 많아지면 아래쪽잎이 구부러지는데 단엽종 계열로서는
잎 장수가 적은 편이다. 월형,니축,적갈색이다. 꽃은 담홍색이다.

주천왕(朱天王)
화예품으로 잎은 초록색이 약한 후엽의 세엽으로 길이 8cm 전후의 대형이다.
꽃은 성성지화보다 강하면 꽃대가 올라 올때의 색상은 전체가 진한 홍자색이지만 개화하면 중심부는 백색 부분이 많다. 월형,진한 니축에 니근이다.

준하복륜(駿河)
복륜계열이다. 농록색 바탕의 잎은 기부부근에서 구부러지면서 옆으로 뻗는
평엽으로 선청성 백색 복륜을 걸친다. 폭이 넓고 약간 비틀어지는 성질이 있는
대형종이며 안정되어 번식도 좋다. 크림색의 대복륜으로 발전한 것이 황려전이다. 월형,니축,니근이다.

지락(至樂)
호 계열로 잎은 희엽으로 전체적으로 붓으로 쓸어 놓은 것처럼 윤기가 있는
맑은 백색 산반호가 들어가며 초봄에 분홍색으로 물든다.
월형, 축은 자홍색, 뿌리는 루비색 꽃은 엷은 분홍색이다.

직희(織姬)
복륜으로 잎 길이 6cm 전후의 희엽으로 엽육은 약간 얇다.
선청성 백색호이지만 잎이 오래되면 바탕색 황색이 진해지는 것도 있다,
백색 바탕에서도 초록색의 산반호가 들기 때문에 잎이 상하지 않는다.
월형,청축,청근

직희복륜
복륜 계열로 직희에서 발전한 품종이다.
백색 복륜으로 잎은 두텁고 길며 약간 평평한 희엽이다.
선청성이며 잎이 오래되면 무늬에 산반호가 섞이기 때문에 무늬가 화려하게
들더라도 재배가 어렵지 않다.

진학(眞鶴)
중투 계열이다. 서출도에서 잘나오는 품종으로 농록색 복륜에
백황색 중투가 잘들어 있다. 다만 오래되면 유령잎만 나오는 개체가 많으며
고정품종은 거의 없다. 잎은 희엽으로 길이가 짧고 두꺼우며 백색바탕이다.
적축에 적근이며 꽃은 필때까지 분홍색이며 꽃대가 특히 아름답다.
이 품종은 엽록소가 적어서 약한 편이며 뿌리 내림이 더디며 신아는
뿌리가 잘 내린 것을 확인하고 구입하는 것이 좋다.
햇빛에 잘타며 번식도 어렵다.

창풍(蒼風)
호 계열로 잎은 농록색에 가까운 푸른색으로 나와 백색과 담황색의
호가 섞인다. 월형, 창(蒼)축에 창근이다.


천녀지무(天女之舞)
기화이다. 잎은 폭이 넓은 무지의 평엽으로 대형이다.
꽃은 겹꽃으로 춘급전을 닮았으나 초록색이 많다. 꽃잎이 두텁고 기부와 거가
선명한 자홍색이다.
월형,니축,니근인데 뿌리가 굵다.

천대전사자(千代田獅子)
호계열로 낭화사자에 무늬가 든 것으로 엽육이 두껍고 길쭉한 잎으로
백황색의 산반호가 들어가는 광엽이다. 붙음매는 고르지 않은 월형이며
니축에 니근으로 소형종이다.
그러나 낭화사자에 백색호가 든 것이 백옹사자이다.

천동환(天童丸)
무지변이 계열 무학을 닮은 두엽으로 농록색이다.
붙음매는 산형이나 고르지 않다 미등록품종이다.

천보(天寶)
무지변이 계열로 두엽중 대형이다.
잎의 폭이 넓고 두터우며 초록색이 진한 나사지로 선저(船底)형이다.
물결형,청축,청근이다.

천산(天山)
호 계열로 중형중에서 큰부류에 속한다.
농록색으로 엽육이 두터우며 폭이 넓고 잎 끝이 둥글다.
호는 백황색으로 선명한데 잎 뒤에 먹줄을 친듯한 묵류가 흐른다.
월형,니축,니근이다.

천상(天祥)
호 계열로 대형으로 엽육이 두터ㅜ며 폭이 넓다.
천엽은 백황색바탕에 감호와 산반 무늬가 나타난다.
돋보이는 란이지만 한 두장째 잎이 나오면 무늬가 소멸한다.
월형,니근,니축이다.

천성금(天城錦)
호 계열로 중형가운데서도 큰부류에 속한다.
잎은 둥글게 휘어지면서 잎 겹침이 좋다. 선청성 황색호로 색상은
그다지 변하지 않는다. 월형,니축,니근이다.

천옥보(天玉寶)
무지변이 계열로 두엽중에서 큰부류에 속한다.
잎은 폭이 대단히 넓고 중앙부가 숫가락 모양으로 오목하다.
월형,니축,니근이다.

천자보(天紫寶)
무지변이 계열 잎은 폭이 약간 좁고 길며 평엽에 가까운 만곡으로
노수엽이 섞이는 대형이다. 갈색의 작은 점이 새잎을 제외한 모든잎의
앞 뒤에 나타난다. 월형, 축은 자홍색이고 진한 니근이다. 꽃은 초록색이다.

천재(千載)
무지변이 계열로 소형중에서도 작은 부류에 속한다.
환엽으로 잎 겹침이 좋으며 힘차게 보인다.
꽃은 위로 보고 피우는 천소피기이고 매판이다.
일문자이며 청축에 청근이다.

천지천(天之川)
녹복륜으로 잎이 긴 대형종이다.
신아는 설백색에 가는 초록색 복륜을 둘렀다.시간이 갈수록 소멸되어
백색 별모양의 호피반을 남긴다. 백색 호피반 부분은 얇고 월형,니축
분홍색 뿌리이다.

천천(天泉)
화예품 소형종으로 잎은 침엽으로 잎 겹침이 좋으며 장수가 많다.
번식이 잘되며 꽃은 일경일화로 초세에 비해 크며 꽃대는 천심으로부터 나온다.
일문자에 니축,니근이다.

천혜복륜(天惠覆輪)
어성복륜이 황색 대복륜으로 변화된 품종이다.


천황전(天晃殿)
호 계열로 대형이며 잎의 폭과 길이가 균형이 잡힌 입엽이다.
선청성의 백색호로 월형,엷은 니축에 뿌리는 분호액이다.

철교전(鐵橋殿)
녹심조복륜으로 대형의 직선적인 잎은 가늘고 길며 끝이 뾰족한 입엽인데
방사선으로 뻗는다. 무늬는 담황색 바탕으로 가장자리에 초록색 호가 나온다.
잎 가장자리에 무늬가 나오기 때문에 복륜이라고 생각되지만 중심부에
초록색 선이 나온다. 월형,니축,니근이다.

청광묵(靑光墨)
호 계열이다. 선청성 백색 산반호로 무늬가 잘 든 것은 적으며
닮은 품종이 몇종있다. 잎은 길이 7cm 전후이며 폭은 약간 좁고
겹침이 느슨한데 뒷면에 먹줄을 친 듯한 묵이 흐른다. 잎 끝이 뾰족하며
백색의 무늬 일부가 빠진듯이 보이며 잎이 변형된 것도 볼수 있다.
새잎은 백색 산반으로 나오며 월형,청축,청근이다.
본종에서 복륜으로 나오면 청광묵복륜이고
무늬가 빠진 광엽을 청사자라 한다.

청광묵 복륜
선청성의 폭이 좁은 산반 복륜으로 무늬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다.
그 밖에 부분은 청광묵과 동일하다.

청량전(淸凉殿)
복륜이다. 잎 폭은 좁고 끝이 뾰족한 입엽의 노수엽으로 엷은 황색의
대 복륜이다. 천엽은 호피반으로 나와서 복륜으로 남는다.
무늬가 고르고 유령잎은 나오지 않는다.
월형,청축,청근

청룡사자(靑龍獅子)
무지변이 계열 잎 길이 4cm 정도인 소형으로 가늘며 끝이 뾰족한 광엽으로
고르지 않다.
성장하면서 전체가 뒤틀어지면서 땅을 기는 룡이나 헝크러진 사자 갈기처럼
보이기도 한다. 일문자에 청축,청근이다.

청류(淸流)
호로 연초록색 띠를 두른 농황색의 호이다.
월형,니근,니축이다.

청보(淸寶)
호 계열이다. 등록할 당시에는 철교전의 변이조으로 발표 하였으나
사자왕금쪽을 더 닮았다. 담황색 바탕에 감호와 백색 산반이라는
삼색 예를 보인다. 잎 길이 7cm 정도의 긴 직선형 입엽이며
백색 산반은 소멸한다. 월형,니근,니축

청수전(淸水殿)
복륜계열로 잎 폭은 표준형이지만 길이가 짧은 소형이다.
끝은 뾰족하며 약간 노수엽이다.
바탕색의 초록색은 진하지 않으나 윤기가 있는 초록색 복륜이 두드러진다.
월형,니축,니근

청옥사자(靑玉獅子)
나도풍란 단엽종 1990년에 발견된 청축,청근으로 잎의 붙음매가 불규칙하고
잎이 말린채로 나와 성장하면서 고금씩 펴진다.
잎의 기부가 연한 녹색인 것도 특징이다.
잎에 나타난 나사지와 마찬가지로 뿌리에도 나사지 모양의 요철이 있다.

청옥환(靑玉丸)
나도풍란 단엽
1990년에 발견한 단엽으로 뿌리가 짧고 굵으며 뿌리 수가 많다.
잎은 후육으로 1년에 1~2장 나오는데 한결같이 환엽에 오목한 모양이며
붙음매가 촘촘하다. 꽃은 두화에 여의설로 핀다.

청왕금(靑王錦)
호 계열이다. 잎은 길이 7cm 전후로 약간 좁으며 윤기가 좋은 희엽이다.
천엽은 담황색으로 나와서 호피반 모양의 구름무늬가 떠있는 것 같으며
성장하면서 호로 바뀌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선명한 호로 물든다.
월형,청축,청근이며 본종에서 청왕복륜이 나왔다 .

청왕복륜
어릴때부터 복륜으로 나오는 것은 드물다.


청축감호(靑軸紺縞)
호 계열로 약간 대형종인 표준형잎마다 감호가 드는데 화려할수록 귀품이다.
월형,청축,청근이며 무늬가 화려한 품종은 상아색 근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

청축부악(靑軸富嶽)
호 계열로 대형과 중형이 있다.
대형은 폭이 넓은 만곡엽이며 중형은 폭이 좁은 중입엽이다.
무늬가 좋은 것은 백황색 바탕에 산반호가 된다. 월형,청축,청근

청축비(靑軸비)
중투계열로 연초록색 바탕에 초록색 복륜을 두른 중투이다.
중형종중에서도 큰부류에 속하는데 정상적인 잎모양으로 봐서 미등록품종인
청축감호에서 발전된 것으로 보인다.
월형에 청축이지만 뿌리가 좋으면 상아색으로 나온다.

청축 조선철(靑軸朝鮮鐵)
무지변이 계열로 잎 길이가 4cm 정도인 입엽으로 침엽계통의 일종이다.
일문자에 가까운 월형이며 청축,청근이다.
꽃은 표준이지만 엽심에서 꽃눈이 나오면 촉의 생명은 끝나지만
측액에서 몇개의 신아가 새로 나온다.

청해(靑海)
무지변이 계열로 농록색의 잎은 폭이 넓고 두터우며 길이가 3cm 전후인 끝이
둥근 단엽종으로 기부에서 구부러지며 잎 겹침이 좋다.
붙음매는 산형으로 니축,니근이다. 꽃은 부드러운 분홍색으로 기화이다.

청해변이
청해에서 백색의 복륜을 두른 품종

청화(淸和)복륜
청왕금의 대형인 청화금이 복륜으로 변화한 품종이다.
아직 고정은 된것은 아니지만 만곡되어 아래로 늘어진 잎의 끝은
노수엽이 된다. 월형,청축,청근

추보선(萩寶扇)
무지변이계열 대단히 작은 왜성으로 잎 겹침이 좋으며 짧은 침모양의 잎이
한쪽에만 20장 정도나 붙는다. 붙음매 부분은 초록색이 연하다.

축자지호(筑紫之縞)
호 계열이다. 근래에 발견된 품종으로 청축에 백호가 들어있다.
햇빛에서 재배를 해도 타지 않는다. 월형이다.

춘급전(春及殿)
기화 계열이다. 잎길이가 7cm전후이며 가늘고 잎 겹침이 느슨한 중입엽인데
휘어진다. 엽육은 있으나 폭이 약간 좁다. 꽃은 계단피기이며 기부는
홍색으로 물들고 꽃잎은 청색이 섞인다. 거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으며
꽃잎의 수도 여러가지인 기화이다. 월형,니축,니근이다.

춘하(春霞)
산반 계열이다. 대형이며 잎 겹침이 느슨하며 원래 백색 호였으나
무늬가 있는 것은 모두 백모란으로 취급 되었기 때문에 현재는 백모란에서
무지가 나온 것을 춘하라 한다.
월형,니축,적근이다.

출운금(出雲錦)
호 계열이다. 중형에 속하는 약간 큰 품종이다.
잎 폭은 표준이며 만곡되어 처진다. 잎 끝은 뾰족하며 노수엽이 나온다.
출운금반에 황색의 호가 나온 것으로 천엽에 호가 들어가나 후에 소멸되어
황색의 산반이 되며 복륜으로도 바뀐다.
월형,니근,니축이다.

출운금반(出雲金班)
서호반으로 잎은 가늘며 엽육도 얇다.
휘어지는 모습이 좋으며 끝은 노수엽으로 된다. 잎 가장자리의 얇은 부분에
경계가 확실치 않은 담황색의 무늬가 나타난다. 작황에 따라 전체에
황금색 무늬가 넓어진다.

취보(翠寶)
복륜으로 초대형이며 잎 겹침이 좋다. 농황색 바탕에 선명한 극황색 대복륜
을 나타내는 웅대한 잎모양이다. 무늬의 계속성은 대단히 좋고 월혀에 니축,니근이다.

취선(翠扇)
무지변이엽 잎끝이 뾰족한 두엽으로 두터운 입엽에 잎 겹침이 좋다.
축은 특히 굵고 뿌리도 굵다. 월형에 청축,청근 꽃은 엷은 황색의 매판이다.

취염(翠艶)
무지변이 계열 잎은 길쭉한 입엽으로 끝이 뾰족한 중형이다.
잎 전체가 윤기가 좋은 농록색이다. 월형에 청축,청근

취옥(翠玉)
무지변이계열 소형에다 엽육이 두터우며 잎의 휘어짐도 알맞으며 잎 겹침이
좋고 가지런하다. 월형에 니축,니근이다.

취화전(翠華殿)
무지변이엽 잎폭이 넓고 두터우며 초록색이 진한 중형이다.
환엽의 정연한 희엽인데 끝은 아래로 꺾어진다. 꽃은 끝에 초록색나타난다.
월형에 니축,니근

침울두(針울斗)
무지변이 계열로 잎 길이 10cm 전후로 대형이며 폭에 비해 길고 끝이 예리하지만 엽육이 얇기때문에 모습이 좋지 않다. 꽃은 엷은 적화이지만 꽃대와
거는 진하다. 월형,니축,니근이다.

태공망(太公望)
호 계열로 중형중에서도 큰편에 드는 부류로 완만한 희엽이다.
선천성 백색 산반호를 남긴다. 월형,축은 자홍색,화려한 무늬의 뿌리는 루비색

태양(太陽)복륜
태양전에서 변화한 품종으로 잎 겹침이 완만하며 잎 폭이 좁고 엽육도 얇다.
새입은 연초록색으로 나와서 황색복륜이 되고 후천성으로 담황색이 된다.
월형,청축에 청근이지만 생장 중의 뿌리 끝이 담황색인 것이 많다.

파초선(芭蕉扇)
나도풍란 기종
일반 나도풍란보다 왜성을 띠는 것으로 잎은 윤생(輪生)하며 뿌리는 짧은 청근,
청축이다. 새잎에 무늬가 드는 경우가 있으나 곧 소멸하는데 3년생의 잎수가
24장이나 되는 품종이다.

팔중의(八重衣)
호 계열로 잎겹침이 느슨한 희엽이다.
선청성 백색호이며 무늬 가운데에 청색산반을 겹들이는 가는 잎이 있다.
오래되면 무늬가 평범해지는 경우가 많다.
(제 경험으로는 노촉이 되면 아주 약한 호만 남는다.)
월형 니축이다.

팔천대(八千代)
녹복륜으로 중형이며 엽육이 두텁고 잎 끝에 힘이 있어 휘어짐이 적다.
초록색이 진하며 엷은 백색의 산반호가 들어가 잎 뒤에서 보면 초록색 복륜으로
보인다. 월형,니축,니근이다.

풍명전(豊明殿)
호피반 계열이다.
소형이며 새잎은 설백색 중투로 나와서 엷은 백색의 호피반과 축에 백색호를
남기고 소멸된다. 월형,니축에 뿌리는 등나무꽃에 가까운 루비근이다.

한하계(寒霞溪)
호피반 계열로 대형이며 잎은 길지만 대신 폭이 약간 좁다.
잎의 뻗음이 좋은 모습이며 그다지 휘지 않는다. 황색의 큰 호피반이 드는데
황색 호피반인데도 축과 뿌리는 탁하지 않다.꽃대는 청색에 가깝다.

협죽도(夾竹桃)
나도풍란 기종이다. 유묘시에는 풍란으로 착각할 정도로 잎이 가늘고 끝이
뾰족하나 자라면서 나도풍란의 모습을 되찾는다.
꽃과 설판은 뾰족하며 꽃은 한대에 7~8 송이를 피운다.

현해(玄海)
무지변이엽으로 잎은 두텁고 길이 2 ~ 3cm 정도의 소형으로 희엽이다.
월형에 기부쪽의 잎자루가 합쳐져있다.

형설(螢雪)
서호반 계열로 농록색의 후천성 호피반이다. 잎은 새잎이 푸르게 나오며
붙음매 부분에서 차츰 백색무늬가 나온다. 잎이 오래되면 기부쪽에서
복륜이 되며 백색의 서호반이 되는데 엽면이 지나치게 희게되면 엽성이 좋치않다. 붙음매는 일문자이다.

호갑룡
기엽으로 농록색의 잎은 폭이 넓고 길이 4cm 전후로 소형종이다.
잎 전체에 갑룡이 드는데 사자 갑룡과는 약간 다른 모습이다.
본종이 사자갑룡보다는 광(狂)예가 더 심하다. 붙음매는 월형,일문자가
들고 니축에 니근이다.

호동금(湖東錦)
복륜으로 잎은 크고 길며 입엽의 노수엽이 섞인다.
설백의 경계가 뚜렷한 복륜에 산반이 들어있다. 월형,니축,니근

호동(湖東)복륜
복륜으로 동출도와 같은형이지만 약간 입엽이며 오래된잎이 황복륜으로 변한다.
새잎은 백색 복륜을 두르고 나오지만 황색으로도 나올정도로 좋은 계통이다.
잎은 폭이 표준형이고 길이는 긴편으로 엽육도 표준이나 잎모양이 좋치않다.
월형에 붉은 끼가 있는 니축에 적근이다.

호동(湖東)지검
복륜으로 중형종중에서도 약간 작은 부류에 속하며 잎의 폭이 좁고 끝이
뾰족하다. 신호동에서 복륜으로 변한 품종으로 백색의 새잎은 선청성으로
나오며 붙음매는 월형으로 니축에 니근이지만 붉은 기가 감돈다.
잎은 백색 무늬쪽으로 당겨져 변형이 나온다. 잎표면에 찐득한 진같은 것이
나와 지저분하게 보이는 것이 많다.

호박(瑚珀)
호피반으로 잎 길이 7cm 전후로 폭이 약간 좁은 희엽으로 농록색바탕이다.
새잎은 백색의 서호반이 나오지만 곧 소멸된다. 월형에 청축 청근이다.
백색 호피반은 햇빛을 약하게 해서 배양해야 한다.
설산보다 작으나 간혹 큰개체도 보인다.

호박전(琥珀殿)
복륜 소형으로 잎 겹침이 느슨한 희엽이다. 호박에서 백복륜이 나온 품종
월형에 청축,청근

호접지무(胡蝶之舞)
화예품으로 중형의 입엽이다.
꽃은 주판과 부판이 약간 퇴화되었지만 예주(蘂柱),설판,거는 표준꽃이상으로
크기 때문에 나비피기라 한다. 월형에 청축,청근이다.

홍공작(紅孔雀)
무지변이로 웅대한 잎모양.강한 나사지. 공작환을 대형으로 한 중량감이
넘치는 품종이다. 잎은 끝이 둥글고 붙음매는 일문자형에 가까운 물결형이고
니축에 니근이다. 꽃은 흰색으로 기화이다.

홍모란(紅牡丹)
묵류계열로 농록색 바탕에 윤기가 있는 먹줄이 처져있으며 전체가 갈고
닦은듯한 광택을 띠는 품종이다.월형에 니축,니근이지만 붉은 기가 있고
적근으로 나오는 경우도 있다.

홍선(紅扇)
복륜 대형으로 잎은 폭이 넓고 엽육이 두터운 희엽으로 정연한 모양을 하고
있다. 무늬는 담황색 바탕에 초록색의 복륜호이며 홍외를 나타낸다.
월형에 니축,니근이다.

홍염(紅艶)
무지변이엽의 소형종으로 잎은 농록색으로 가늘고 긴 입엽이며 끝이 뾰족하다.
전체가 갈고 닦은 듯이 윤기가 난다. 월형에 니축 니근이다.

홍취(紅鷲)
무지변이엽으로 소형주에서 큰 부류에 속한다.
이세왜계의 잎을 약간 늘린듯한 느낌의 희엽으로 전체에 갈색의 작은 반점이 나온다. 꽃대는 붉으며 개화를 하면 엷은 분홍색이 된다.
월형에 진한 니축에 니근이다.

홍혁전(紅赫殿)
무지변이로 주천왕과 같은 산에서 발견된 품종으로 더욱 붉다.
모양과 잎은 같으나 노수엽이 섞인다. 최근에는 주천왕의 실생묘가 많이 나돌아
꽃 색깔에 따라 주천왕이 되었다가 홍혁전이 되어 식별하기가 어렵다.

화의 (花衣)
호피반으로 광엽 금루각을 닮았으나 잎은 더욱 넓고 끝이 뾰족하며 노수엽이 섞인다. 무늬는 선명도가 좋으며 햇빛을 많이 주고 재배하면 전체적으로 황금색을 연상할 정도로 대절반의 호피반이 나온다. 월형에 니축,적근이다.
꽃대와 봉오리가 분홍색이고 성질은 강건하며 번식도 좋다.

황려전(皇麗殿)
복륜으로 준하복륜에서 크림색의 대복륜으로 변화한 품종이다.

황옥전(黃玉殿)
복륜 대형으로 잎은 넓고 완만하게 휘어졌다. 무늬는 선청성인데 농황색으로
나온다. 월형에 니축,청근이지만 유백색으로 나오는 경우도 있다.

황운각(黃雲閣)
서계통으로 대형이며 잎은 폭이 넓고 후육이나 윤기는 없다.
새 잎은 담황색으로 나와서 차츰 초록색이 진해지며 3 ~ 4장의 잎 아래에
다시 황색의 구름같은 무늬가 든다. 월형에 니축,니근으로 꽃은 담황색이다.

황접(黃蝶)
무지변이로 중형이며 표준의 잎이다. 햇빛을 강하게 주어 재배하면 기부에 황색의 무늬가 나온다. 붙음매가 없으며 니축에 니근으로 꽃은 크림색이다.


황천구(黃天拘)
호피반 중형의 큰 부류에 속한다. 잎은 폭이 넓은 희엽이다.
황색 호피반이지만 햇빛을 강하게 줄 필요가 있다. 월형에 청축,청근이나
황근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황해(皇海)
무지변이로 대형이며 크게 휘어지는 잎은 길이 8cm 전후이며 폭이 7mm 정도로
대파청해보다 좁으며 초록색도 진하지 않다. 월형에 니축,니근이다.

황휘(荒輝)
무지변이로 소형이며 세엽이다. 잎 면이 가로와 세로에 가는 금이 든 줄잎에
가깝다. 붙음매는 월형이며 니축에 니근이다.

횡강(橫綱)
무지변이로 중형종이다. 잎은 두터우며 폭이 몹시 넓고 끝이 둥글며 균형있게
휘어져 있다. 월형에 축은 다소 엷은 니축이며 뿌리는 비교적 붉다.

흑요(黑燿)
무지변이. 중형의 농록색 잎은 폭이 1cm로 넓고 길이는 2cm 정도로 짧으며
잎 겹침이 좋은 두엽으로 월형에 니축,니근이고 꽃은 밝은 분홍색이다.

흑조(黑潮)
무지변이 중형의 입엽이다.
잎은 폭이 넓은 후육으로 끝이 둥글며 매무새가 단정하다.
붙음매는 월형이나 산형도 있다.청축,청근이다.

흑조호(黑潮縞)
호 계열로 봉옥과 동일한 산지이며 감호이다.
붙음매는 얕은 월형이다.

흑진주(黑眞珠)
무지변이계열로 소형의 두엽,농록색이며 잎 표면은 두툼하고 비단같은 바탕은
윤기가 있으며 잎겹침이 좋고 매무새가 단정하다.
붙음매는 물결형이고 뿌리는 전체에 비해 굵은 편이다.

희녹보(姬綠寶)
무지변이로 녹보를 많이 닮았으나 약간 소형이며 축이 가늘다.
잎이 길고 짧은 장단이 있다. 월형,청축,청근이다.


이 것으로 약 330여종의 부귀란 품종을 적어 보았읍니다.
풍란을 처음하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적은 것입니다.

( 출처 : http://www.nan555.com/about/management_06.asp )

'난과 함께 > 난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아 분화 (펌)  (0) 2011.07.24
거름주기 (펌)  (0) 2011.07.24
약제 사용법 (펌)  (0) 2011.07.24
물주기 (펌)  (0) 2011.07.24
계절 및 월별 관리 (펌)  (0) 2011.07.24